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일본어 높임말 한국 높임말 회화 차이점 한국은 비지니스 같이 엄격하고 딱딱한 자리에서는 높임말만 계속 쓰고 형동생
한국은 비지니스 같이 엄격하고 딱딱한 자리에서는 높임말만 계속 쓰고 형동생 같이 상하관계가 있지만 친해지면 높임말을 쓰다가도 반말을 가끔 사용하는데일본도 마찬가지인가요?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일본은 "상대높임"입니다. 곧, 상대가 나와의 관계에서 어디에 있느냐를 두고 높여야 하는지 높이지 않아도 되는지 따져서 높임말을 취사선택해야 합니다.
이 기준이, "우치(内)"와 "소토(外)"입니다.
우리냐? 남이냐? 그걸로 높임말을 결정합니다.
한 집안에서는 나와 동생을 제외한 사람은 남입니다. 그래서 아버지를 おとうさん이라 하고 어머니를 おかあさん이라 하죠.
우리 가족에 대하여 내 친구는 남입니다. 그러므로, 친구에게 소개할 때 우리 아빠를 おとうさん이라 안 하고 ちち라고 다소 낮춤 표현을 씁니다.
같은 조직 안에서, 친한 동기는 우리고 안 친한 동기는 남입니다. 그러므로 안 친한 동기에게 말할 때는 높입니다.
또 같은 조직 안에서, 상관은 남입니다. 그러므로 사장에게 말할 때는 높입니다.
우리 조직에 대하여 다른 조직은 남입니다. 그러므로 다른 조직에서 우리 사장을 찾을 때는 "사장님은~"이렇게 높여 표현하지 않고 "○○○은~"하고 다소 낮춥니다.
이렇게 계속 올라가면, 절대적으로 높여야 할 대상은 일본 안에서 천황일가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천황일가 앞에서는 무조건 높이지만, 역시 다른 나라에 대하여서는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다른 나라는 남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