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심리학과 대학원 입시관련 예전에 상담학과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하다 대학원 진학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충남대 심리학과
예전에 상담학과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하다 대학원 진학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충남대 심리학과 대학원에 진학을 고민하고 있는데 입시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어 글을 씁니다. Q1. 필기 시험이 있나요?Q1-1. 시험이 있다면 어떤 시험이 있나요?Q2. 영어 시험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에 다른 곳에 대학원 진학했던 친구들은 AP시험을 봤다고 하는데 충남대에도 그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Q3. 공부는 어떤 것을 준비하면 좋을까요?Q4. 그 외에 준비해야하거나 공부해야할 것이 있을까요?
대학원마다 상이하고(ex.공대는 컨텍 필수지만, 사회과학이나 인문은 선택영역) 대학원도 입시인 만큼 전학기(상반기) 입학모집요강을 참고하는게 최선입니다.
※대학원은 계열마다 분위기가 다름. 인문은 상호존중으로 만학도 박사과정생이든 이제 갓 졸업한 24살도 선생님 내지 쌤이라고 호칭하지만 공대는 석박 간극이 굉장히 크고 한학기 차이가 매우큼.
보통 대부분 사회대학은 구술(문제지를 던져놓고 1분 정도 시간주고 자유롭게 설명하기)고사와 자소서,연구계획서와 참고사항(ex.학부성적 및 석차,자격증,수상기록,연구실적,어학능력)을 바탕으로 질문합니다.
구술 범위는 그냥 학부때 배운 개론 전체를 다루는 편이어서 뭐가 나온다라고 보기 어렵고, 어느정도 학업능력이 있다면 쉽게 답변 가능합니다.
앞서 말했다시피 어학시험은 어문쪽을 제외하면 학과마다 다릅니다. 일례로 저도 지거국 면접때 연구계획서를 일본어로 1분 요약해 발표를 시키는걸 하였던적이 있습니다.
가장 먼저 알아볼것은 지도교수님과 내 방향성이 맞는지와 지도교수님 스타일(방치형,관심형,꼽창형)그리고 정년여부와 연구년(정년이 얼마남지 않으면 제자 못 받음, 졸업학기에 연구년 걸리면 복잡함), 제자분위기(공대만큼은 아니지만 K,P대는 타대 구별짓기와 방학중 선배가 과제를 주기도함)를 알아내고 해당 대학의 석박논문을 읽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간혹 학부학과에 따라 계열전공이 인정되지 않아 학부수업을 들어야 하기도 하는 경우가 있으니 알아보는걸 추천드립니다.
직장을 다닌다면 병행여부와 계획을 묻고, 동기,졸업후 진로계획, 석사논문주제는 100%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