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외고 준비하는 중3입니다. 평소 국제정세에 관심이 많아 이쪽으로 진로를 정하고싶은데, 정확히 어떤 직업을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국제기구에서 일하고싶고, 단순히 국제기구공무원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어떤 부서에 있는 국제기구 직원 이런 식으로 추천해주세요 chat gpt 한테도 물어보니 국제정세분석가는 어떠냐고 해서 찾아봤는데 이건 직업명이 아니라 되게 포괄적이더라고요......... plz 간절해여
이렇게 또렷하게 진로를 고민하는 모습이 정말 인상적이에요. 중3인데 국제정세, 국제기구 같은 큰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건 앞으로 큰 강점이 될 수 있어요.
국제기구에서의 직무는 굉장히 다양하고, 단순히 “국제기구 직원”이라고 하기보다 전문 분야별 역할로 나뉘어요. 몇 가지 구체적인 예시를 드릴게요
정책분석가 (Policy Analyst / Political Affairs Officer)
국제분쟁, 안보, 인권, 환경 등 특정 분야의 정세를 분석하고 정책 제안을 하는 직무예요.
UN 본부나 지역사무소, 또는 연구 부서에서 활동하게 돼요.
외교/협력 담당관 (International Relations Officer / Liaison Officer)
각국 정부, NGO, 기업과 협력하면서 국제 프로그램이나 협약을 추진해요.
예를 들어 WHO에서 보건 협약을 조율하거나, UNESCO에서 교육 협력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죠.
인권 담당관 (Human Rights Officer)
국제인권조약의 이행 여부를 감시하고, 인권침해 사례를 조사·보고하는 직무예요.
제네바의 UN 인권이사회(OHCHR) 같은 곳에서 주로 활동해요.
국제개발 전문가 (Development Officer / Project Officer)
빈곤, 기후변화, 교육, 보건 등 글로벌 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직접 설계·운영해요.
UNDP, UNICEF, 세계은행 등에서 활동할 수 있어요.
분쟁조정 및 평화유지 담당관 (Peacekeeping / Conflict Resolution Officer)
분쟁 지역에서 평화 유지 활동을 조정하거나 중재 역할을 해요.
실제 현장 파견이 많고, 정치학·국제법 지식과 언어 능력이 크게 필요하죠.
학문적 배경: 정치외교학, 국제관계학, 국제법, 개발학, 환경정책학 같은 전공이 도움돼요.
외국어: 영어는 기본, 추가로 프랑스어나 스페인어를 배우면 UN이나 EU 계열 기구에서 특히 유리해요.
현장 경험: 대학 시절에 모의유엔(MUN), 국제NGO 인턴, 해외 봉사·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도 큰 자산이 돼요.
에픽테토스가 말했듯이 “중요한 건 어떤 일이 일어나느냐가 아니라, 그 일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예요. 지금처럼 넓은 분야 속에서 구체적인 길을 탐색해 나가는 태도 자체가 이미 당신의 반응이고, 그게 진짜 힘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