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달러 예금, 적금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달러로 예금이나 적금을 할 경우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달러로 예금이나 적금을 할 경우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환율 변동에 따른 이익이나 손실, 이자율 차이, 그리고 국내 원화 예금과 비교했을 때의 특징 등도 함께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상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달러로 예금이나 적금을 하면 가장 큰 차이는 환차익 가능성과 이자율 구조의 차이입니다. 간단하게 장점부터 얘기하자면 이렇습니다.
환차익 기대감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같은 달러라도 나중에 원화로 바꿨을 때 더 많은 돈이 됩니다. 예를 들어 1달러가 1,200원일 때 예금했는데 만기 시점에 1,400원이 되면, 단순히 환율 차이로 200원 이익이 생긴 거죠. 이건 국내 원화 예금에는 없는 기능입니다
자산 분산 효과
원화만 들고 있다가 원화가치가 급락할 경우를 대비해, 달러를 들고 있으면 환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투자자금 흐름을 예민하게 보는 사람한테는 일종의 ‘헷지’ 수단이 될 수 있어요.
일부 국가나 특정 은행에서 제공하는 고이율 달러 예금 상품
특히 미국 기준금리가 높을 때는 달러 예금 이자율이 원화보다 유리할 수 있어요. 다만 국내 은행의 달러 예금은 생각보다 이자율이 낮은 경우가 많아서 꼼꼼히 비교해야 합니다.
이제 단점입니다.
환차손 리스크
환율이 떨어지면 달러 가치도 같이 떨어집니다. 예금 자체로 손해는 안 봤어도, 원화로 환전하는 순간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1달러 = 1,400원일 때 예금했다가 만기 시점에 1,200원이면 마이너스 200원이죠
낮은 이자율
국내 은행의 달러 예금 이자율은 대체로 원화 예금보다 낮습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높다고 해도 그걸 국내 은행이 다 반영하진 않거든요. 그래서 ‘이자수익’만 보고 가입하면 실망할 수 있어요.
실생활에서 쓰기 불편함
달러는 바로 꺼내 써먹을 수 있는 돈이 아니니까, 생활비나 유동성 자금으론 부적합해요.
그래서 달러 예금은 '안정적인 자산분산 + 환차익 기대'라는 목적에는 좋지만, '고금리 + 안정성'이라는 목적엔 원화 예금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어요. 투자의 일환으로는 괜찮지만, 생활자금이나 비상금 용도라면 좀 고민해봐야겠죠.
혹시 몰라서 연간 7~9%이상 배당 수익률 주는 미국주식 종목들 하나하나 분석하고 알려주는 고배당주 연구소 소개드리니 참고하세요. 저는 유용하게 구독하고 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ussocom/highyield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