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일본문법에서 たら의 용법 たら의 용법 들을 명시적으로 나누는것 자체는 애매하지만발견, 결과라는 용법이 있을
たら의 용법 들을 명시적으로 나누는것 자체는 애매하지만발견, 결과라는 용법이 있을 때 이 두개는 같은 용법인가요 다른 의미의 용법인가요? 다르다면 예문을 들어주실 수 있나요
좋은 질문입니다. 일본어 문법에서 たら는 기본적으로 ‘~하면’, ‘~했더니’ 등의 의미를 가진 조건 표현인데요,
그 안에서도 ‘발견’과 ‘결과’로 사용되는 용법은 매우 비슷하게 보이지만,
의미상으로는 구별되는 다른 용법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뜻과 예문을 통해 차이를 설명해 드릴게요.
<1. ‘발견’ 용법 — 어떤 행동을 했더니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됨>
이 용법은 어떤 행동을 했더니, 예상하지 못한 사실이나 상황을 마주하게 되었을 때 사용됩니다.
→ 앞 문장은 과거의 조건, 뒷문장은 그 조건 하에서 ‘발견한 사실’을 나타냅니다.
예문:
ドアを開けたら、猫がいた。
(문을 열었더니 고양이가 있었다.)
→ 여기서 고양이가 있다는 건 ‘미리 알고 있던 결과’가 아니라, 문을 열고 발견한 사실이에요.
<2. ‘결과’ 용법 — 앞 사건의 결과로 뒤의 일이 발생함>
이 용법은 원인과 결과, 또는 시간 순서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어떤 행동을 했고, 그에 따라 일어난 결과나 상황 변화를 말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薬を飲んだら、熱が下がった。
(약을 먹었더니 열이 내렸다.)
→ 이건 약을 먹은 ‘결과로’ 나타난 반응입니다. 의도한 효과가 나타난 상황이죠.
<두 용법 비교 정리>
| 구분 | 의미 | 예시 | 특징 |
|------------|------------------------------|-------------------------------|-------------------------------|
| 발견 용법 | 예상치 못한 사실의 발견 | 帰ったら、手紙が届いていた。 | 의도하지 않은 사실 인식 |
| 결과 용법 | 앞 행동의 결과가 뒤에 나타남 | 掃除したら、部屋がきれいになった。 | 시간 순서/원인 결과 관계 강조 |
<마무리>
두 용법은 문장 구조는 같지만,
- ‘발견’은 → 예상치 못한 사실의 인지,
- ‘결과’는 → 앞 사건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의미적으로 분명히 구분되는 다른 용법입니다.
질문자님처럼 이런 미묘한 차이를 고민하는 건 일본어 실력을 한 단계 높이는 과정이니, 아주 좋은 방향으로 공부하고 계십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됐다면, 답변 채택과 ‘좋아요’ 부탁드려요!